2025년 현재 대구 도시철도는 1·2·3호선을 운영하며, 1호선 화원 연장, 2호선 경산/하양 연장 논의, 4호선(순환형 경전철) 추진, 모바일 간편결제·AI 운행관리 등으로 빠르게 고도화되고 있습니다.
대구지하철 3개 노선의 운영 현황
1호선 (진천 ↔ 안심)
- 총 연장 약 28.4km, 32개 역
- 도심 동서축을 관통하는 대구 교통의 주간선
- 화원 연장 사업 진행 중(하단 참조)
2호선 (문양 ↔ 영남대)
- 총 연장 약 31.8km
- 서(달서·달성)부터 동(경산)까지 잇는 광역 축
- 경산 방면 추가 연장 논의 지속
3호선 (칠곡 ↔ 용지, 모노레일)
- 총 연장 약 23.95km, 고가 모노레일 방식
- 북부–동남부를 직결, 관광형 노선으로도 활용
- 지상 주행 특성상 전망성과 접근성이 장점
공통 서비스 변화(2025)
- 모바일 간편결제(QR·NFC) 도입 확대
- 실시간 도착 정보·혼잡도 안내 고도화
- AI 운행관리 기반 배차 최적화·정시성 강화
| 노선 | 연장/역 수 | 핵심 기능 | 2025 포인트 |
|---|---|---|---|
| 1호선 | 28.4km / 32역 | 도심 동서축 주간선, 통근·통학 핵심 | 설화명곡–화원 연장 공사 진행 |
| 2호선 | 31.8km / 다수 환승거점 | 서–동 광역 축, 경산 연결 | 경산 하양 추가 연장 논의 |
| 3호선 | 23.95km / 30역 | 모노레일, 북부–동남부 연결 | 관광·일상 복합 수요 흡수 |
지하철 연장 및 신규 노선 계획
1) 1호선 설화명곡–화원 연장(약 2.4km)
- 상태: 2024년 본격 착공 → 목표 개통 2027년
- 효과: 달성군 화원읍 접근성 향상, 외곽–도심 통근 시간 단축
- 연계: 버스 환승체계 개편과 병행 시 권역 생활동선 개선
2) 2호선 경산 방면 추가 연장(하양 등)
- 배경: 경산 인구 유입·대구–경산 생활권 통합 가속
- 기대: 광역 통근 네트워크 중심축 강화, 수요 분산
- 포인트: 거점 환승시설(주차·버스·자전거) 확충 시 효과 극대화
3) 4호선(순환형 경전철) 신설
- 방식: 경전철(순환) 검토 — 동구·북구·수성구·달서구 순환
- 절차: 타당성 조사·기본 설계 진행(2025년 기준)
- 목표: 2030년대 초 개통을 가정한 단계적 추진
- 효용: 도심 순환축 완성 → 환승 부담·배차 집중 완화
4) 광역 환승 강화(대구역·동대구역·서대구역)
- 고속철도·광역철도와의 도어 투 도어 환승동선 정비
- 보행 동선·엘리베이터·에스컬레이터 무장애 연결 강화
- 주차·PM(퍼스널 모빌리티)·버스 연계 라스트마일 촘촘화
기술 고도화와 시민 편의성 개선
모바일 간편결제
- QR·NFC로 교통카드 없이 승하차 — 관광객·청년층 호응
- 결제 수단 다변화(신용·간편결제)로 게이트 체류시간 단축
AI 기반 운행관리
- 혼잡도 예측·배차 자동 조정으로 출퇴근 피크 완화
- 실시간 장애 감지·공조 제어로 정시성·쾌적성 동시 확보
스마트 역사·무장애 이동
- 무인 안내 로봇·디지털 키오스크·실시간 전광판 상시 운영
- 리프트 엘리베이터, 점자 유도블록, 음성 안내 고도화
- 유아·고령층·교통약자 보편 접근성 기준 강화
한 줄 요약: 지하철은 이제 ‘이동 수단’을 넘어, 결제·정보·안전·문화를 포괄하는 도시 서비스 플랫폼으로 진화 중입니다.
요약 & 이용 팁과 자주 묻는 질문
- 핵심 현황: 1·2·3호선 안정 운행 + 모바일 결제·AI 배차 도입
- 확장 포인트: 1호선 화원 연장(’27 목표), 2호선 경산 연장 논의, 4호선(순환 LRT) 추진
- 환승 전략: 대구·동대구·서대구역 거점에서 광역철도 연계 확인
바로 활용 팁
- 출근 시간대에는 혼잡도 안내 확인 후 대체 시간·열차 선택
- 관광·업무 이동 시 모바일 간편결제로 게이트 대기 최소화
- 환승이 잦다면 거점역 무장애 동선을 미리 체크(엘리베이터 위치 등)
Q. 2025년 대구지하철 노선은 몇 개인가요?
A. 3개 노선(1·2·3호선)이며, 대구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합니다.
Q. 1호선 화원 연장은 언제 이용할 수 있나요?
A. 설화명곡–화원 약 2.4km 구간이 2024년부터 본격 착공되어 2027년 개통을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.
Q. 모바일 간편결제는 전 구간에서 되나요?
A. 2025년 기준 전 노선에서 QR·NFC 결제를 단계적으로 지원하며, 적용 역사는 지속 확대되고 있습니다.
※ 본 글은 2025년 11월 8일 기준 정보입니다.
